본문 바로가기
근육학

승모근 3. 통증점과 상부 승모근의 증상

by PThyeok 2022. 9. 19.
반응형

이번 포스팅은 승모근의 통증점(TP)2부터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Trapezius TP2 붉게 칠한 곳이 방사통 부위

TP2 
후두 하 삼각 부위(후두하근 지역)에 통증을 방사한다.

후두 하 근육에 대한 만성적인 자극으로 후두 하 부위를 뻑뻑하게 하며 만성두통을 야기시킬 수 있다. 이러한 두통은 혈압 관련 질환으로 오인하기 쉬우며 만성적인 경우에 고혈압이나 저혈압 등의 질환을 발생시킬 수 있음.

승모근 상부의 발통점들은 항시 두부에서 발생하는 통증들과 기본적으로 연계하여야 하며 특히 경추 1번이나 2번에 부탁하는 근육들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정리 :승모근 상부의 통증점
TP1 
- 후 경부 외측, 아래턱 각 부위 및 태양혈 주위의 통증 발현
- 긴장성 두통의 중요한 원인이 된다.
- 가끔 후두부 및 어금니에도 통증을 방사한다.
- 어지럼증이나 현훈에도 관계되며 자침 시 발생할 수 있다.
- 흉쇄유돌근이나 쇄골 부와 연관된다.
TP2
- 후두하근 부위에 통증을 방사한다.

승모근 중부섬유

승모근의 TP 5,6

TP 5,6의 방사통
1) TP 5
C7, T1 극돌기 부위의 천층의 동 측 피부에서 작열통을 유발한다.
환자들은 자기 손을 이용하여 문지르거나 두드리는 등의 통증의 행동 양상을 보인다. 또한 극돌기 부위의 융기를 관찰할 수도 있다.
상모근 중부섬유의 이완성 구축(수축력의 약화)은 특히 C7,T1 부위에 부착하는 근육들의 만성적인 약화를 가져오기도 한다.
※ C7, T1의 부착 근육 : 두,경판상근, 두,경반극근, 능형근, 상후거근 등

2) TP 6
견봉 상의 통증. 극상근 힘줄염의 자리이기도 하다.
통증의 방사지역 내의 심부에는 극상근이 있고 위성적으로 극상근의 발통점 양상이 일어날 수도 있다.
중부 섬유의 발통점들은 견갑골의 추골연 상부로 주로 나타나며 견갑골의 비정상적인 위치에 의해 악화되기도 한다. 견갑대의 피로와 함께 나타나기 쉽다. 그리고 중부 섬유의 이완성 구축 현상(수축력 약화)은 특히 상흉추 부위에 부착하는 근육들에 만성적인 긴장을 계속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 두경부 부위의 근육들에 손상과 더불어 이차적 증상이 복합되어 나타날 수 있다.

승모근 하부섬유

하부 성유의 통증점 TP3, 4


1) TP3
승모근 하부섬유의 중간에서 주로 나타나며 심부로 흉장늑근이 자리 잡고 있다. 어깨를 자주 문지르는 통증 양상이 나타나며 모포를 덮고 있어도 시리다고 한다.
시리다는 것은 자율신경계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온도에 민감해진 상태를 표현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좌측에서의 발통점은 위장과 관계된다. 환자들은 통증으로 팔의 움직임이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다른 문제가 생기기도 한다.

 

가) 견갑골 상부 지역이 깊숙이 아리는 미만성 통증을 방사한다. 피로시 통증이 더 증가할 수도 있으며 심리적 긴장 상태와 관련되기도 한다.

나) 부척추근(상 경추 지역)의 통증에 관여

다) 환자는 대개 어깨가 시리다고 표현하기도 하며, 스스로 문지르는 양상을 습관적으로 보인다. 어깨에 찬 바람이 분다는 표현을 하기도 한다.

2) TP4 
견갑내측의 견갑극 아래로 통증이 방사된다.
계속된 작열통을 견갑골 내측연의 능형근 부착 부위에 방사한다. 쓰리고 따갑다고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증상

1. 승모근 상부섬유

승모근의 증상은 항상 흉쇄유돌근의 증상과 함께 비교하여 진단한다. 그리고 기능적으로도 흉쇄유돌근은 주동과 길상의 위치에 있으니 참고한다.

1) TP1
승모근 상부 섬유의 앞쪽에 위치. 쇄골로 내려가는 섬유이므로 약간 비틀어져 있다. 따라서 쇄골을 들어 올릴 수 있다.

가) 후 경부 외측의 통증 및 마목감
후경부의 외측 지점의 근육들에 근육통과 같은 뻣뻣한 느낌을 일으키고 경추의 회전 시 제한은 없으나 마치 기름칠이 안 돼 뻑뻑하게 움직여지는 느낌이며 회전에 큰 제한은 일으키지 않는다. 습관적으로 목에 손이 자주 올라가며 피로시 더 심해진다. 즉 오랜 시간 앉아서 하는 작업을 하다 보면 쉽게 목의 피로를 느끼게 된다. 이것은 승모근의 상부 섬유가 지속해서 이완성 긴장을 받음으로써 일어나는 에너지의 과다한 소모의 결과이다.

나) 피로나 스트레스와 관련된 지속적인 편두통
※만성적인 편두통 환자에게서 약물치료에 의해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 자세나 체형을 판단함과 동시에 승모근 상부 섬유를 검사 및 치료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되기도 한다.

다) 아래턱의 외측각의 통증 
깨물근 하부섬유를 신장시킴. 만성적인 치통을 유발. 턱 언저리가 쑤신다고 표현한다. 승모근 상부의 지속적 이완성 긴장은 턱관절의 위치에도 영향을 크게 미치게 되고 그 결과 턱을 움직이는 근육들에 지속적인 과부하를 유발한다. 또한 승모근의 운동신경이 11번 뇌 신경이다.

라) 경추 신경근 병으로 오진하기 쉬운 증상이 발현된다.
피절로 보게 되면 안면에 대한 부분은 관계가 별로 없다. 목의 외측 지점에 대한 통증이 문제가 될 수 있으나 경추 신경근에 대한 디스크 압박은 희박하다. 그러나 오래되어진 근육의 만성 경직은 경추의 퇴행성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

마) 전형적인 안면신경통으로 오진할 수 있다.

바) 머리를 반대 측으로 회전시킬 때 완전한 회전 시 국소적인 통증이 발생하기도 한다
초기의 회전 제한은 해당 근육을 치료하면 어느 정도 완화되는데 마지막 범위에서 남아있는 잔여통은 승모근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참고한다.

사) 회전 시 목이 뻣뻣하여 돌리기가 불편하다고 한다.

2) TP2
승모근 상부 섬유의 뒤쪽에 위치한다. -> 후두하삼각 부위에 문제를 유발한다.


가) 목의 통증과 유사하나 두통은 없다.
목덜미가 뻐근하다고도 표현한다. 환자들은 습관적으로 스스로 통증 지점을 압박하기도 한다. 


나) 무거운 코트를 장시간 입고 다닐 때 특히 옷이 몸에 맞지 않을 때 문제가 된다. 무거운 가방을 메고 다니는 경우도 해당한다.
어깨가 처지게 된다. 처진 어깨는 경추 및 견관절 피로를 증가시킨다.

반응형

'근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승모근 - 중부 승모근의 기능  (1) 2022.09.19
승모근 1 해설 ~ 상부 승모근의 기능  (2) 2022.09.19

댓글